딥러닝

[딥러닝] 파이썬 복습

미로910 2025. 3. 8. 22:41

주피터 노트북으로 복습을 해준다.


산술연산

파이썬에서 곱셈을 나타내는 기호는 * 이다.

파이썬에는 제곱 연산자가 있는데 바로 **이다. 10**2는 10에 2을 의미한다.


자료형

자료형이란 데이터의 유형을 의미한다. 파이썬에는 정수, 실수, 문자열과 같은 자료형이 있다. 

자료형은 type() 함수로 알 수 있다.

10은 정수(int), 3.14는 부동소수점수(float), "python"은 문자열(str) 자료형임을 알 수 있다.

객체를 생성하는 틀이 클래스(class)이므로 자료형을 클래스라고 생각해도 된다. 


변수

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공간이다. 

기호를 사용하여 변수을 정의할 수 있다. 

변수의 자료형이 상황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된다.

위의 코드에서 r의 자료형이 정수형이라고 명시한 적이 없지만 정수로 초기화되었기 때문에 변수 r의 자료형은 정수형이 된다.

 

# 은 주석의 시작을 나타내는 기호이다. 


리스트

여러 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. 

요소의 번호를 인덱스(index)라고 하며 0부터 시작한다.

리스트에는 슬라이싱을 사용할 수 있다.


딕셔너리

키(key)와 값(value) 쌍을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.

사전에 단어와 단어의 설명을 저장하는 것과 유사하다.


if-else문

어떤 조건에 따라서 문장의 실행을 다르게 하려면 if-else문을 사용한다.

파이썬에서 조건이 만족될 때 실행되는 문장을 작성하려면 들여쓰기를 해야 된다.

들여쓰기는 공백 문자를 앞에 두면 된다.

주의

else나 if와 같은 조건문 뒤에는 반드시 콜론이 필요합니다. 


for문

어떤 문장을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고자 할 때는 for문을 사용한다.

리스트 안의 요소를 하나씩 꺼내서 화면에 출력한다.

세트나 딕셔너리 안의 요소들도 for문을 사용하여 차례대로 접근하여 처리할 수 있다.


함수

특정한 작업을 처리하는 코드들을 묶어서 이름을 붙인 것이다.

함수로 정의 되면 몇 번이고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.

def는 파이썬에서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이다.
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을 정의해두고, 필요할 때 여러 번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.

언패킹 연산자

파이썬에서 * 연산자는 '언패킹(unpacking)' 연산자로도 사용된다.

언패킹 연산자 * 은 리스트, 튜플 등의 컨테이너 타입의 값을 개별 요소로 분해하는데 사용된다.

 

** 연산자는 딕셔너리를 함수 호출 시 개별 키워드 인자로 분해할 때 사용된다.


클래스

클래스를 이용하여 자료형을 정의할 수 있다.

클래스는 자신만의 변수와 함수(메소드)를 가질 수 있다.

Person 이라는 새로운 클래스를 정의했다. 그리고 Person 클래스를 이용하여 p1이라는 객체를 생성했다.

__init__() 라는 메소드가 있는데, 이 메소드는 객체를 초기화하는 방법을 정의한다.  <-- 이 메소드를 생성자라고 한다.

생성자는 클래스의 객체가 만들어질 때마다 호출된다.

self는 메소드를 실행하는 객체 자신을 참조하는 변수이다. 생성자는 name과 age를 받아서 그 인수로 인스턴스 변수인 self.name과 self.age를 초기화하였다.
인스턴스 변수나 메소드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self를 먼저 써주고 점을 찍은 후에 변수나 메소드 이름을 붙여아 한다.